목록동티모르 (28)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1999년, 그러니까 내가 인도네시아 오고 나서 5년 차 되던 해에 이런 글을 썼습니다. 20년 전이죠. 이 오래된 글을 읽어 보면 격세지감을 느끼는데 또 한편으로는 깜짝 놀랄 정도로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 차이 없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도 있습니다. 우린 그 동안 얼마나 변했고 얼마나 발..
12. 맺는 말 동티모르인들에게는 아픈 역사이지만 어쨋든 역사이니 동티모르 임시정부 시절 인도네시아가 지명한 대통령과 그후 합병시대의 주지사들은 다음과 같다. 동티모르 임시정부 대통령 : 아르날로 도스 레이스 아라우요(Arnaldo dos Reis Araújo) 1975년 12월 17일~1976년 7월 17일 동티모..
11. 뒷 이야기들 1) 호세 라모스-호르타 라모스-호르타는 인도네시아 철군 이후 독립을 위한 제도적 토대 마련을 위한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는 2000년 5월 1일 UNTAET의 중요한 합동 워크샵에서 티모르 사절단을 이끌며 새로운 전략을 사용해 동티모르 독립의 제도적 필요성을 ..
10. 동티모르 저항군 팔린틸(Falintil) 본문에 자주 등장한 동티모르 저항군 팔린틸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제까지의 이야기들을 간단히 복기해 보기로 하자. 팔린틸은 원래 1975년 8월 20일 UDT 당과의 갈등에 대한 반동적 성격으로 동티모르 프레틸린 정당의 군사조직으로 태동했다. 팔..
9. 파국 1) 사망자 수 동티모르 사태가 벌어지는 동안 발생한 사망자 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 2005년 동티모르 포용, 진실 및 화해 위원회(CAVR)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의 사망자 추정치는 최소한 102,800명이며 오차범위 12,000명 정도일 것이라 한다. 물론 일반 사망자와 실종자들이 18,6..
8. 국제 반응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 침공과 점령에 대해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혹시나 공산주의를 조금이라도 지지하게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해 왔다. 하지만 그와 관계없이 동티모르를 침공하고 현지 저항을 가혹하게 핍박한 것이 인도네시아의 국가적 위상과 신뢰도에 ..
7. 인도네시아 강점기의 종식 1) 인도네시아 내부 변화 인도네시아와 포르투갈 사이에 유엔의 중재노력이 1997년 초부터 다시 시작되었다. 수하르토의 신질서 정권 아래에서는 동티모르의 독립은 물론 제한적인 자치권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의 인도네시아의 대중적 견해는 내키지 않지만 어쨌든 동티모르 상황에 대해 종종 인정하면서도 동티모르의 독립이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전체의 통일에 불안요소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인도네시아의 정치지형에 대변혁을 가져오면서 1998년 5월 마침내 수하르토가 32년간 지켜온 권좌에서 하야하기에 이르렀다. 나는 새도 떨어뜨릴 것만 같던 위세등등한 육군전략예비전력사령부 사령관까지 승승장구하며 승진했던 쁘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