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매일의 삶 (656)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2021년 3월 22일(월) 아침 인도네시아 영자 일간지 자카르타포스트의 홈페이지가 바뀌었습니다. 최상단에 일본 미쯔이의 광고가 들어간 것입니다. 인도네시아 매체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꼼빠스-그라메디아 그룹의 내국인 대상 꼼빠스 대신 외국인 대상 자카르타포스트에 저돌적인 광고를 싣는 것은 분명 노리는 바가 있을 것입니다. 그 노리는 바란 과연 무엇일까요? 2021. 3. 22

나도 이런 시절이..... 월남 파병에서 막 돌아온 것 같지만 때는 바햐흐로 1987년. 칼기 떨어지고 김현희 잡혀오고 전통 말기에 629선언 나오고 하던 시절.... 무려 34년 전. 뒷줄 왼쪽 두 번째 최영무 중위는 코오로 상사 부사장을 지냈고 가운데 천황성 대위, 우리 보좌관님은 현재 잘 나가는 시니어 모델 겸 배우^^ 전정훈 중위, 이상철 중위 최종식 중위, 곧 한국 가서 뵙겠습니다. 전중위님 뵈려면 사이판에 가야 하나....? 2021. 3. 17.

아내가 3개월 한국 일정 마치고 돌아와 5일간의 호텔 격리 시작. 정겨운 대화가 시작됨. ㅠㅠ 2021. 3.15.

양칠성과 가룻 유격대 영화 및 다큐멘터리 제작계획 관련 2021. 3. 10 안녕하세요. 배동선 작가입니다. 주지하시는 바와 같이 인도네시아의 역사단체 히스토리카 인도네시아(Historika Indonesia)는 2018년부터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당시 서부자바 가룻(Garut) 지역에서 인도네시아 정부측 유격대 빵에란빠빡 부대(Pasukan Pangeran Papak – PPP)의 일원으로 네덜란드군과 싸웠던 양칠성 등 한국인 투사들에 대한 내용을 현지에 홍보하며 가룻 군청과 협조하여 PPP 기념공원과 양칠성로 설치(Jl. Komarudin Yang Chilsung)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한인들의 인도네시아 진출 100년을 기념해 2020년 마무리하려 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미얀마 쿠데타 관련 몇 가지 생각 1. [#대외상황] 먼저 전제할 주변국 상황은, 상당히 좋지 않다. 가장 가까이 있는 태국이 쿠데타 이후에도 저리 건재한 것은 가장 안 좋은 신호이다. (심지어 태국 내에는 군부=사회 엘리트 = 하나의 정치적 입장으로 인정할 수도 있어라는 이른바 tank liberal 이란 정치적 견해도 있다). 카오스적 상황보다야 안정 속에서 지속 등장하는 야당이 있다는 점, 그래도 자유로운 언론과 세계에 대한 개방성이 크다는 점은 중요하지만 태국의 군부는(도) 결코 스스로 권력을 내려놓을 생각이 없음이 분명하다. 영향력의 차이는 있지만 그 옆의 캄보디아의 훈센총리는 3.4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 받으며 "나, 건재함. 쉽게 죽지 않아, 내려가겠다는 얘기 할 일 앞으로 10~20년까지..

친구가 또 유치장에 갇혔습니다. 2019년에도 르바란 때 끈다리 경찰청 유치장에 갇혀 나랑 인디아에계 영국인 변호사 비나이(Vinay)와 함께 도와주러 날아간 적이 있었는데 근 2년 만에 비슷한 일이 또 다시 벌어졌습니다. 술라웨시 동남부 '꼬나웨 우타라'라고 하는 곳에 여러 개의 니켈 광산을 가지고 있는 친구이자 오랜 동료 릴리는 늘 누군가 마찰을 빚고 있는데 그건 그 사업에 큰 돈이 걸려 있기 마련입니다. 요즘 니켈이 톤당 40불쯤 하나요? 바지선에 실으면 최소 3천 톤은 되니 12만 불짜리가 되는 거고 5만톤 벌크선에 실으면 2백만불이 되는 겁니다. 단위가 틀리죠. 잘만 한다면 돈이 잘 벌리는 장사여야 합니다. 하지만 늘 관련된 사람들 사이에 이해가 첨예하기 대립하고 좀 더 챙기겠다고 무리를 하기도..

오랜 만에 [하다하다 별 걸 다] 시리즈 입니다. 창세기 3장에서 아담과 하와가 뱀의 유혹에 빠져 하나님의 경계를 어기고 선악과를 먹은 후 에덴동산에서 쫒겨나는 장면은 사실 모든 시대를 통틀어 인간이 성장해 나가는 보편적인 모습을 성경 초입에 상징과 비유로 설명한 것입니다. 말하자면 '인간 성장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죠. 설마 정말로 선악과란 나무 열매가 실제로 있고 유창하게 사람의 말을 하는 뱀에게 우리 선조가 속아 넘어가 그게 원죄가 되어 후손인 우리가 그 원죄를 여전히 짊어지고 있다는 이상한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진 않겠죠? 성서의 해당 부분 원문은 이렇습니다. 1 그런데 뱀은 여호와 하나님이 지으신 들짐승 중에 가장 간교하니라 뱀이 여자에게 물어 이르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