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도네시아 독립전쟁 (24)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 (Soekarno) (7) 영국의 중재로 1946년 11월 15일 조인된 체리본 조약(Cheribon Agreement) 또는 찌레본협정(Cirebon Agreement)라도고 불리는 링가자티 조약은 공화국이 자바와 마두라, 수마트라를 ‘잠정적’으로 지배함을 네덜란드가 인정하는 것을 골자로 했습니다. 양..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 (Soekarno) (6) 8월말 공화국 중앙정부가 자카르타에서 출범하고 중앙 인도네시아 민족위원회가 선임되어 대통령을 보좌하게 되자 비슷한 위원회들이 주 단위, 면 단위에서도 조직되었습니다.신생정부는 지방과 외곽도서를 포괄하는 과정에서 각 지방의 통..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 (Soekarno) (5) 독립선언서가 발표된 다음날인 8월 18일, PPKI는 신생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기본 정부조직을 발표했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수까르노와 모하마드 하타를 대통령과 부통령에 각각 임명함. 2. 이슬람법에 대한 문구가 삭제된 194..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 (Soekarno) (4) 수까르노 일행이 자카르타에 돌아온 다음날인 8월 15일 일본은 포츠담선언을 받아들이며 연합군에게 전격 항복했습니다. 그리고 이틀 후인 8월 17일 수까르노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선언문을 낭독합니다. 그래서 인도네시아의 독립기념일은 8월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 (Soekarno) (2) 인도네시아 민족회복운동이 한창이던 1929년 초, 수까르노는 그의 동료이자 저명한 민족주의 지도자 모하마드하타(Mohammad Hatta – 훗날 부통령)와 함께 태평양전쟁이 발발해 일본이 인도네시아에 진주한다면 그것이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의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수까르노(Soekarno) (1) 1. 인도네시아의 근대사에서 수까르노 초대 대통령을 비켜 갈 수 없습니다. 그에 대한 수많은 책자들이 시중에 나와 있고 영화도 여러 편 나왔습니다. 그의 장녀 메가와띠가 수하르토 하야 후 혼란기에 하비비 대통령과 압두라흐만 와히드 대..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다안모곳(Daan Mogot) 소령 일본제국의 패망 이틀 후인 1945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는 서둘러 독립을 선포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독립이란 일본으로부터 독립이라기보다는 수백 년간 동인도 지역에서 맹위를 떨쳤던 네덜란드로부터 독립이라는 의미가 더욱 컸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