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동티모르 강점 (8)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12. 맺는 말 동티모르인들에게는 아픈 역사이지만 어쨋든 역사이니 동티모르 임시정부 시절 인도네시아가 지명한 대통령과 그후 합병시대의 주지사들은 다음과 같다. 동티모르 임시정부 대통령 : 아르날로 도스 레이스 아라우요(Arnaldo dos Reis Araújo) 1975년 12월 17일~1976년 7월 17일 동티모..
11. 뒷 이야기들 1) 호세 라모스-호르타 라모스-호르타는 인도네시아 철군 이후 독립을 위한 제도적 토대 마련을 위한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는 2000년 5월 1일 UNTAET의 중요한 합동 워크샵에서 티모르 사절단을 이끌며 새로운 전략을 사용해 동티모르 독립의 제도적 필요성을 ..
9. 파국 1) 사망자 수 동티모르 사태가 벌어지는 동안 발생한 사망자 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 2005년 동티모르 포용, 진실 및 화해 위원회(CAVR)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의 사망자 추정치는 최소한 102,800명이며 오차범위 12,000명 정도일 것이라 한다. 물론 일반 사망자와 실종자들이 18,6..
4) 노벨 평화상 1996년 “동티모르의 갈등에 대한 평화적인 해결책과 정의를 추구해 온 업적을 기려” 카를로스 필리페 지메네스 벨로 주교(Bishop Carlos Filipe Ximenes Belo)와 호세 라모스-호르타(José Ramos-Horta)에게 노벨평화상이 시상되면서 동티모르에 갑작스러운 세계의 관심이 쏟아졌다. 카..
6. 1990년대 1) 저항방식과 합병작전의 변화 1975년 이래 동티모르의 사회간접자본과 의료, 교육시설을 개선하려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주요 투자 정도로는 동티모르인들의 반감을 억제할 수 없었다. 1980년대에 이르러 프레틸린 전사들은 불과 수백 명 규모로 축소되었지만 젊은 동티모르인..
카를로스 필리페 지메니스 벨로 주교 (Carlos Filipe Ximenes Belo) 카를로스 필리페 지메네스 벨로 주교는 1948년 2월 3일 동티모르 북부 해안가 베나세(Venasse) 지역 인근 와일라카마(Wailakama)라는 마을에서 도밍고스 바즈 필리페(Domingos Vaz)와 에르멜린다 밥티스타 필리페(FilipeErmelinda Baptista Filipe)..
4. 침공 1975년 12월 7일 오전 3시 두 척의 포르투갈 코르벳함인 NRP 조아오 로비(NRP João Roby ) 호와 NRP 아폰소 쎄르퀘이라 호가 아타루오에 정박해 있던 중 해상과 공중에서 다수의 표적물들이 접근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건 딜리 공격에 나선 인도네시아군의 항공기와 선박들이었다. 인도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