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도네시아 동티모르 강점 (8)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8. 국제 반응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 침공과 점령에 대해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혹시나 공산주의를 조금이라도 지지하게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해 왔다. 하지만 그와 관계없이 동티모르를 침공하고 현지 저항을 가혹하게 핍박한 것이 인도네시아의 국가적 위상과 신뢰도에 ..
7. 인도네시아 강점기의 종식 1) 인도네시아 내부 변화 인도네시아와 포르투갈 사이에 유엔의 중재노력이 1997년 초부터 다시 시작되었다. 수하르토의 신질서 정권 아래에서는 동티모르의 독립은 물론 제한적인 자치권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의 인도네시아의 대중적 견해는 내키지 않지만 어쨌든 동티모르 상황에 대해 종종 인정하면서도 동티모르의 독립이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전체의 통일에 불안요소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인도네시아의 정치지형에 대변혁을 가져오면서 1998년 5월 마침내 수하르토가 32년간 지켜온 권좌에서 하야하기에 이르렀다. 나는 새도 떨어뜨릴 것만 같던 위세등등한 육군전략예비전력사령부 사령관까지 승승장구하며 승진했던 쁘라보..
7) 1983년 청소작전 반란진압작전이 연속적으로 실패하자 인도네시아군 수뇌부는 1983년 3월 딜리 지역 군휴양소 사령관인 뿌르완토(Purwanto) 대령에게 프레틸린 사령관 자나나 구스마오(Xanana Gusmão)와 평화협상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려 회담이 성사되었다. (사진: 뿌르완토 대령과 자나나..
4) 강제입양과 유아강탈 점령기간 동안 약 4천 명의 어린이들이 인도네시아군, 국가 및 종교기관들에 의해 자기 친부모들과 생이별해야 했다. 물론 그 중엔 좋은 환경에서 자라게 된 아이들도 있었지만 성폭력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학대를 받은 아이들도 많았다. 어떤 아이들은 강제로..
자나나 구스마오 (Xanana Gusmão) 카이 랄라 자나나 구스마오(Kay Rala Xanana Gusmão)는 1944년 6월 20일 태어난 동티모르 정치인으로 태어날 당시 붙여진 이름은 호세 알렉산더 구스마오(José Alexandre Gusmão)였다. 그의 별명인 자나나(Xanan)는 미국 로큰롤밴드 샤나나(Sha Na Na)에서 따왔는데 샤나나 ..
리퀴샤 성당 학살사건 (Liquiçá Church massacre) 리퀴샤 리퀴샤 성당 학살사건은 1999년 4월 동티모르의 독립찬반투표가 진행되던 시절 벌어졌다. 이 사건을 통해 약 200명의 동티모르 인들이 현지 카톨릭 성당 옆의 리퀴샤 사제관에서 살해당했다. 라파엘 도스 산토스(Raphael dos Santos) 사제를 ..
마리 알카티리(Mari Alkatiri) 마리 빈 아뮤데 알카티리(Mari bin Amude Alkatiri)는 1949년 11월 26일 출생한 동티모르 정치인이다. 그는 프레틸린 당의 사무총장이자 현재 우쿠세(Oecusse) 특별행정구의 수장이기도 하다. 우쿠세를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겠다. 이 지역 이름은 여러가지 발음으로 소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