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꾼띨아낙 (10)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인도네시아 귀신 꾼띨아낙과 뚜율에 대한 서방 인류학자들의 고찰 Selasa, 09 Mei 2023 12:36 WIB 인간 주변 어딘가에 깃들어 살고 있다고 알려진 인도네시아 귀신들에 대한 서양 학자들의 학술적인 고찰이 이루어졌다. 독일인 인류학자 티보 두일(Timo Duile)은 인도네시아 꾼띨아낙의 유래에 대해, 미국 인류학자 클리포트 기어츠(Clifford Geertz)는 뚜율에 대해 연구했다. 독일 인류학자의 꾼띨아낙 연구 꾼띨아낙에 대한 티모 두일의 연구는 2020년 동남아시아 인류사회과학 저널에 실렸다. 해당 연구보고서에는 ‘꾼띨아낙: 인도네시아 뽄티아낙의 귀신이야기와 말레이 현대사회(Kuntilanak: Ghost Narratives and Malay Modernity in Pontianak,..
즘바딴 안쫄과 카사블랑카 터널의 여귀 자카르타 도시괴담 중엔 꾼띨아낙의 종래 개념을 벗어난 다른 버전의 여자귀신들이 등장합니다. 그들은 헝클어진 긴 머리와 흰색 복장 등 꾼띨아낙의 기본 드레스코드를 정면으로 깨뜨립니다. 그 중 하나가 그 유명한 시마니스 즘바딴 안쫄(Si Manis Jembatan Ancol) 이라 불리는 안쫄의 여자귀신입니다. 두니아판다시(Dunia Fantasi)있는 안쫄, 거기 맞습니다. 안쫄 여자귀신의 유래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버전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엔 자카르타 북부 안쫄 실개천의 다리 위에서 치한들에게 쫒기다 결국 물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미녀가 귀신이 되어 당시 치한들을 저승길로 끌여 들였고 지금도 그 차갑도록 아름다운 자태로 그 개천가를 오가면서 밤늦게 차를 몰고 ..

꾼띨아낙은 인도네시아판 손각시일까? 폭우가 쏟아지는 깊은 밤, 허름한 빈민촌 끝자락의 조산소에서 산모의 비명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제발 비명 좀 지르지 마. 저것들이 자꾸 다가오잖아!” 조산원의 비단(bidan: 산파)이 다급하게 속삭이지만 산모는 극도의 진통 속에 또 다시 비명을 지를 뿐이었습니다. “이히히히힛! 이히히히힛!” 아까부터 산모가 비명을 지를 때마다 들려오던 간드러진 웃음소리는 이제 바로 담 너머까지 다가와 있었습니다. 조산원은 끄라맛 센티옹(Kramat Sentiong)과 조하르 바루(Johar Baru) 사이의 묘지터에 접해 있었는데 조산원은 묘지 안쪽으로 건물 반쯤이 삐죽이 들어가 있는 모양새였어요. 지명에 포함된 ‘끄라맛(Kramat)’이란 일견 신의 축복을 담은 성스러운 장소를..
출산과 원혼의 상관관계 - 꾼띨아낙(Kuntilanak) 인도네시아 귀신 대표선수는 누가 뭐래도 꾼띨아낙(kuntilanak)입니다. 한국의 처녀귀신, 손각시와 비견되는 꾼띨아낙은 드레스코드가 분명해요. 얼굴을 완전히 가린 헝클어진 머리칼과 부대자루 같이 헐렁한 흰 옷이죠. 거기에 밤하늘을 뒤흔..
순델볼롱 - 등에 뚫린 구멍 이번주 주말의 귀신극장은 순델볼롱 편입니다. 전국 에피소드들이 모이고 또 다시 전파되면서 결과적으로 꾼띨아낙처럼 하나의 통일된 관념이 성립된 전국구 귀신이 되고 나면 다시 각각의 개체들이 새삼 조명을 받게 되는데 지역별 간판스타들로는 안쫄 다..
인도네시아 영화들을 보면 아주 옛날에는 토착 전설에 대한 영화가 많았던 것 같은데 대부분 귀신과 연관있는 얘기들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 영화 속에서 이슬람 끼아이(Kyai)나 울라마(Ulama) 같은 종교지도자가 한국으로 치면 무당, 서양으로치면 엑소시스트 신부와 같은 역할을 하고 ..
2010년 쯤이었던 것 같습니다. 밤 8시경 사무실 내 방에 혼자 앉아 직원들을 기다리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열심히 결산서류를 작성하면서 모니터 한 켠에 열어 놓은 창으로는 인터넷을 검색하는 중이었는데 자연히 상체는 모니터 방향으로 조금 수그린 자세였죠.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