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와 소설 사이, 그 어디쯤

애당초 내 인생에 뭔가 쉽고 만만한 게 있을 리 없었다.

한국인으로 살아가기

기록

외래어 표기법(2005)

beautician 2023. 5. 31. 11:58

외래어 표기법

[시행 2005. 12. 28.] [문화관광부고시 제2005-32호, 2005. 12. 28., 제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외래어는 표 1~13에 따라 표기한다.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표 2

에스파냐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3

이탈리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4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표 5 중국어의 주음 부호(注音符號)와 한글 대조표

표 6

폴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7

체코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8

세르보크로아트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9

루마니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0

헝가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11 스웨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2 노르웨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3 덴마크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4 말레이인도네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5 타이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6 베트남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7 포르투갈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표 18 네덜란드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j의 ‘이’,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표19 러시아 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 sh(ш), shch(щ)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 ([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제3항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는 ‘슈’로, 모음 앞의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는 ‘ㅈ’으로 적는다.

제4항 파찰음([ts], [dz], [t?], [d?])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ts], [dz]는 ‘츠’, ‘즈’로 적고, [t?], [d?]는 ‘치’, ‘지’로 적는다.

2. 모음 앞의 [t?], [d?]는 ‘ㅊ’, ‘ㅈ’으로 적는다.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제6항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제8항 중모음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는 ‘아워’로 적는다.

제9항 반모음([w], [j])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제10항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제2절 독일어의 표기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r]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r]와 ‘-er

’는 ‘어’로 적는다.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2항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제4항 

1.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2. [y],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제3절 프랑스 어의 표기

표 1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 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파열음([p], [t], [k]; [b], [d], 

)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마찰음

1. 어말과 자음 앞의 

는 ‘슈’, ‘주’로 적는다.

2. 

 

,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제3항 비자음

1. 어말과 자음 앞의 

는 ‘뉴’로 적는다.

2. 

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3. 

 

,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4. 그 밖의 

는 ‘ㄴ’으로 적는다.

제4항 반모음([j])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뒷모음이 

,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제5항 반모음([w])

[w]는 ‘우’로 적는다.

제4절 에스파냐 어의 표기

표 2에 따라 적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gu, qu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제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제3항 c, g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제4항 x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제5항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1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6항 nc, ng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제5절 이탈리아 어의 표기

표 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gl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제2항 gn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제3항 sc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제4항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제5항 c, g

1.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ㅊ’, ‘ㅈ’으로 적는다.

2.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제6항 qu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제7항 l, l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6절 일본어의 표기

표 4에 따르고,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제2항 장모음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제7절 중국어의 표기

표 5에 따르고,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성조는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제2항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

 뒤의 ‘ㅑ, ㅖ, ㅛ, ㅠ’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

제8절 폴란드 어의 표기

표 6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b,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그’로 적는다.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는 ‘트’로 적는다.

제3항 

1. 

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스, 시, 츠’로 적는다.

2. 

와 rz는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ㅈ’으로 적되, 앞의 자음이 무성 자음일 때에는 ‘시’로 적는다.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슈’, 어말에 올 때에는 ‘시’로 적는다.

3. sz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제4항 ł

1. ł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적는다.(ło는 ‘워’로 적는다.) 다만, 자음 뒤에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는다.

제5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6항 m

어두의 m이 l,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7항 

은 ‘엥’으로 적는다. 다만, 어말의 

는 ‘에’로 적는다.

제8항 ‘ㅈ’,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c, z) 뒤의 이중 모음은 단모음으로 적는다.

제9절 체코 어의 표기

표 7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b, d,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티’, ‘크’로 적는다.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디’, ‘그’로 적는다.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 d’는 ‘트’, ‘티’로 적는다.

제3항 

1. v, w, 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프, 스’로 적는다.

2. 

가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주’,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슈’, ‘슈’, 어말에 올 때에는 ‘르시’, ‘시’로 적는다.

3. ?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제4항 l, lj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제5항 m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6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제10절 세르보크로아트 어의 표기

표 8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3항 m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4항 

 

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제11절 루마니아 어의 표기

표 9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c,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c, g

c, g는 e, i 앞에서는 각각 ‘ㅊ’, ‘ㅈ’으로,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ㅋ’, ‘ㄱ’으로 적는다.

제3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4항 n

n이 어말에서 m 뒤에 올 때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5항 e

e는 ‘에’로 적되, 인칭 대명사 및 동사 este, era 등의 어두 모음 e는 ‘예’로 적는다.

제12절 헝가리 어의 표기

표 10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제2항 bb, cc, dd, ff, gg, ggy, kk, ll, lly, nn, nny, pp, rr, ss, ssz, tt, tty는 b, c, d, f, g, gy, k, l, ly, n, ny, p, r, s, sz, t, ty와 같이 적는다. 다만, 어중의 nn, nny와 모음 앞의 ll은 ‘ㄴㄴ’, ‘ㄴ니’, ‘ㄹㄹ’로 적는다.

제3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4항 s

s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제13절 스웨덴 어의 표기

표 11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2. k, c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ㄱ, ㅂ, ㅅ’으로 적는다.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제3항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2. lg, rg의 g는 ‘이’로 적는다.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제4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제6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7항 어두의 lj는 ‘이’로 적되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고, 어중의 lj는 ‘ㄹ리’로 적는다.

제8항 n은 어말에서 m 다음에 올 때 적지 않는다.

제9항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제10항 sk는 ‘스ㅋ’으로 적되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제11항 

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는 ‘에’로 적는다.

제1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제14절 노르웨이 어의 표기

표 12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제3항 d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 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제4항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제5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제6항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제7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8항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제9항 sk는 ‘스ㅋ’로 적되,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제10항 t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제11항 eg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2. 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제12항 

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φ는 ‘에’로 적는다.

제13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제15절 덴마크 어의 표기

표 1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1. b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ㅂ’으로 적는다.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제2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제3항 d

1. ds, dt, ld, nd, rd의 d는 적지 않는다.

2. 다만, ndr의 d는 ‘드’로 적는다.

3.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제4항 g

1. 어미 ig의 g는 적지 않는다.

2. u와 l 사이의 g는 적지 않는다.

3. borg, berg의 g는 적지 않는다.

4.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제5항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제6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7항 v

1. 모음 앞의 v는 ‘ㅂ’으로 적되, 단모음 뒤에서는 ‘우’로 적는다.

2. lv의 v는 묵음일 때 적지 않는다.

3. av, æv, øv, ov, ev에서는 ‘우’로 적는다.

4. 그 밖의 경우에는 ‘브’로 적는다.

※ 묵음과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덴마크 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제8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제16절 말레이인도네시아 어의 표기

표 14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유음이나 비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제2항 s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샤, 셰, 시, 쇼, 슈’ 등으로 적는다. 구철자 sh는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3항 인도네시아 어의 구철자 dj와 tj는 신철자 j,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4항 인도네시아 어의 구철자 j와 sj는 신철자 y,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5항 인도네시아 어의 구철자 bh와 dh는 신철자 b, d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6항 인도네시아 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kh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7항 말레이시아 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8항 말레이시아 어 철자법에 따라 표기한 gh, th는 각각 g, t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9항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10항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제11항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가 있으면 ‘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제12항 반모음 y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을 경우에는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다만 g나 k가 y 앞에 올 때에는 합쳐 적지 않고 뒤 모음과만 합쳐 적는다.

제13항 e는 [e]와 

 두 가지로 소리 나므로 발음을 확인하여 [e]는 ‘에’로 

는 ‘으’로 적는다. 다만, ye의 e가 

일 때에는 ye를 ‘여’로 적는다.

제14항 같은 모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제15항 인도네시아 어의 구철자 중모음 표기 oe, ie는 신철자 u, i와 마찬가지로 ‘우, 이’로 적는다.

제17절 타이 어의 표기

표 15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유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제2항 모음 사이에서 l은 ‘ㄹㄹ’로, ll은 ‘ㄴㄹ’로 적는다.

제3항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tt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에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제4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c 대신 쓰이는 j는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제5항 sr 와 thr는 모음 앞에서 s와 마찬가지로 ‘ㅅ’으로 적는다.

제6항 반모음 y는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는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는 합쳐 적는다.

제7항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 kh가 있으면 ‘꽈’, ‘콰’, ‘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제8항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사용되는 or은 ‘오’로 적고, oo는 ‘우’로, ee는 ‘이’로 적는다.

제18절 베트남 어의 표기

표 16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nh는 이어지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받침 ‘ㄴ’ 으로 적되, 그 앞의 모음이 a인 경우에는 a와 합쳐 ‘아인’으로 적는다.

제2항 qu는 이어지는 모음이 a일 경우에는 합쳐서 ‘꽈’로 적는다.

제3항 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제4항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인명의 성과 이름은 별개의 단어로 보아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제19절 포르투갈 어의 표기

표 17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라는 단서가 붙은 조항은 브라질 지명·인명의 표기에만 적용한다.

제1항 c, g

c, g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ㅋ, ㄱ’으로 적고, e, i 앞에서는 ‘ㅅ, ㅈ’으로 적는다.

제2항 gu, qu

gu, qu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구, 쿠’로 적고, e, i 앞에서는 ‘ㄱ, ㅋ’으로 적는다.

제3항 d, t

d, t는 ㄷ, ㅌ으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i 앞이나 어말 e 및 어말 -es 앞에서는 ‘ㅈ, ㅊ’으로 적는다.

제4항 어말의 -che는 ‘시’로 적는다.

제5항 l

2)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우’로 적되, 어말에 -ul 이 오는 경우에는 ‘울’로 적는다.

제6항 m, n은 각각 ㅁ, ㄴ으로 적고, 어말에서는 모두 받침 ‘ㅇ’으로 적는다. 어말 -ns의 n도 받침 ‘ㅇ’으로 적는다.

제7항 ng, nc, nq 연쇄에서 ‘g, c, q’가 ‘ㄱ’이나 ‘ㅋ’으로 표기되면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제8항 r는 어두나 n, l, s 뒤에 오는 경우에는 ‘ㅎ’으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ㄹ, 르’로 적는다.

제9항 s

1) 어두나 모음 앞에서는 ‘ㅅ’으로 적고, 모음 사이에서는 ‘ㅈ’으로 적는다.

2)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스’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는다.

제11항 x는 ‘시’로 적되, 어두 e와 모음 사이에 오는 경우에는 ‘ㅈ’으로 적는다.

제1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rr는 ‘ㅎ, 흐’로, ss는 ‘ㅅ, 스’로 적는다.

제13항 o는 ‘오’로 적되, 어말이나 -os의 o는 ‘우’로 적는다.

제14항 e는 ‘에’로 적되, 어두 무강세 음절에서는 ‘이’로 적는다. 어말에서는 ‘으’로 적되,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로 적는다.

제15항 -es

1) p, b, m, f, v 다음에 오는 어말 -es는 ‘-에스’로 적는다.

2) 그 밖의 어말 -es는 ‘-으스’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스’로 적는다.

※ 포르투갈 어 강세 규칙은 다음과 같다.

제20절 네덜란드 어의 표기

표 18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는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받침 ‘ㅂ, ㅅ, ㄱ’으로 적는다. 다만, 앞 모음이 이중 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와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제2항 유성 파열음 b, d가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프, 트’로 적고, 어중에 올 경우에는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와 앞 모음이 이중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에는 ‘브, 드’로 적는다. 그 외에는 모두 받침 ‘ㅂ, ㅅ’으로 적는다.

제3항 v가 어두에 올 경우에는 ‘ㅍ, 프’로 적고, 그 외에는 모두 ‘ㅂ, 브’로 적는다.

제4항 c는 차용어에 쓰이므로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ㅋ’이나 ‘ㅅ’으로 적는다.

제5항 g, ch는 ‘ㅎ’으로 적되, 차용어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적는다.

제6항 -tie는 ‘시’로 적는다.

제8항 nk

k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제9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제10항 e는 ‘에’로 적는다. 다만, 이음절 이상에서 마지막 음절에 오는 e와 어말의 e는 모두 ‘어’로 적는다.

제11항 같은 모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ee는 ‘에이’로 적는다.

제12항 -ig는 ‘어흐’로 적는다.

제13항 -berg는 ‘베르흐’로 적는다.

제14항 over-는 ‘오버르’로 적는다.

제15항 

제21절 러시아 어의 표기

표 19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p(п), t(т), k(к), b(б), d(д), g(г), f(ф), v(в)

파열음과 마찰음 f(ф)·v(в)는 무성 자음 앞에서는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2항 z(з), zh(ж)

z(з)와 zh(ж)는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스, 시’로 적는다.

제3항 지명의 -grad(град)와 -gorod(город)는 관용을 살려 각각 ‘-그라드’, ‘-고로드’로 표기한다.

제4항 자음 앞의 -ds(дс)-는 ‘츠’로 적는다.

제5항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л)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제6항l’(ль), m(м)이 어두 자음 앞에 오는 경우에는 각각 ‘리’, ‘므’로 적는다.

제7항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мм), nn(нн)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제8항e(е, э)는 자음 뒤에서는 ‘에’로 적고, 그 외의 경우에는 ‘예’로 적는다.

제9항연음 부호 ’(ь)

연음 부호 ’(ь)은 ‘이’로 적는다. 다만 l’, m’, n’(ль, мь, нь)이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적지 않는다.

제10항dz(дз), dzh(дж)는 각각 z, zh와 같이 적는다.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1절 표기 원칙

제1항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제4항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1항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제2항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제3항 우리 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제4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제5항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