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도네시아 현대사 (27)
한국인으로 살아 가기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전대통령 (4) 경제위기와 하야 인도네시아는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상황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1997년 중반부터 거대한 자본이 US달러 구매를 위해 유출되었다. 취약한 대출관행 때문에 많은 인도네시아 회사들이 이자가 저렴한 미국 달러화 대출을 받았는..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전대통령 (3) 경제 경제를 안정시키고 신질서정권에 대한 장기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수하르토 정부는 ‘버클리 마피아’(Berkeley Mafia)라고 통칭되는 미국 유학파 인도네시아 경제학자들을 주축으로 경제정책에 새로운 변화를 주려 했다. 그들은 보조금을 줄여 정..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전대통령 (2) 수카르노 축출 1965년 4월 군부와 공산당 사이의 긴장이 높아지자 수카르노는 노동자와 농민들을 주축으로 제5의 군대를 만들자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의 제안을 즉각 실행하라며 적극 호응했다. 그러나 그것이 공산당들이 자신들만의 군대를 만드는 것과 ..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전대통령 (1) 요약 수하르토는 1921년 6월 8일 출생하여 2008년 1월 27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인도네시아군의 지휘관이자 1967년 수카르노를 몰아낸 후31년간 인도네시아 대통령 권좌를 지킨 정치가이기도 했다. 그가 족자 인근 고데안(Godean) 지역에 속하는 꺼무숙(Kemusuk) ..
소설가의 필치로 소개하는 흥미로운 인도네시아 현대사 지난 세기까지만 해도 오지 취급을 받았던 인도네시아는 최근 2018아시안게임을 치르고 우리 정부의 ‘신(新)남방정책’ 핵심 협력국으로 부상하며 잠재력 있는 투자처로 관심을 받고 있다. 올해9월 도서출판 아모르문디에서 발간..
9월 12일 인쇄소에서 갓나온 따끈따끈한 책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17일부터 시판된다 하네요. 누구 목부터 조르러 갈까...^^
서문 이 책을 처음 쓰기 시작할 때만 해도 일이 이리 커질 지 몰랐습니다. 자카르타의 길들은 당연히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몇 년씩 그 길을 지나면서도 ‘너무나 당연히’ 그 이름의 의미를 모른다는 건, 외국어의 한계와 인도네시아에 돈 벌러 왔다는 원래의 목적을 십분 감안하더라도, 너무 생각없이 살아간다는 자책감은 지울 수 없었습니다. 물론 그 도로를 달려야 할 이유가 없는 한국의 독자들에겐 아무 관계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충무로가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대한 존경심을 담고 퇴계로가 퇴계 이황의 사상을 기리는 도로인 것처럼, 자카르타 주요 도로의 이름들, 그것도 인도네시아 거의 모든 도시들이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중앙통 도로들에 붙인 수디르만, 탐린, 수까르노, 하타, 야니 가똣 수브로토..